안전이야기

위험성평가 -체크리스트법-

SAFE BUDDY_Official 2024. 5. 16. 16:39

 


위험성평가


체크리스트법이란?

체크리스트법은 위험성 평가 방법의 하나로, 평가대상에 대해 미리 준비한 세부적 목록을 사용하여 위험성 평가를 하는 방법입니다. 일반적으로 각 항목에 대해 “O” 또는 “X” 등으로 표시하여, 목록에 제시된 유해·위험 요인의 위험성이 우리 사업장에서 허용할 수 있는 수준의 위험인지 여부를 판단합니다. 그러나 체크리스트가 너무 간단하거나 주관적으로 작성되면 중요한 위험을 놓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.

 

체크리스트법 적용 방법

출처: KRAS 평가방법 안내

 

체크리스트에서의 단어 설명

1. 체크리스트: 체크리스트는 평가대상에 대해 미리 준비한 세부적 목록을 의미합니다. 이 목록은 유해·위험 요인을 항목으로 나누어 점검하며, 각 항목에 대해 “O·X” 또는 “체크” 등으로 표시하여 유해·위험 요인의 위험성이 허용할 수 있는 수준인지 여부를 판단합니다.
2. 유해·위험 요인: 유해·위험 요인은 사업장의 공정, 작업, 장소, 기계·기구, 물질, 부품, 작업 행동, 가스, 분진 등을 꼼꼼히 살펴보고, 그간 있었던 산업재해나 아차 사고 등을 고려하여 위험성 평가의 대상을 선정합니다.
3. 위험성: 위험성은 유해·위험 요인이 얼마나 위험한지를 가늠하는 것을 의미합니다. 이는 작성된 평가 항목에 따라, 기계에 적절한 방호 장치가 설치되었는지, 작업 절차 준수를 근로자에게 당부하였는지, 기타 필요한 조치 등 안전·보건 조치가 이루어졌는진 현장을 둘러보며 확인합니다.
4. 허용할 수 있는 위험: 허용할 수 있는 위험은 유해·위험 요인별로 등급을 매겼을 때, 그 등급이 우리 사업장에서 "허용할 수 있는 위험성 수준"인지 여부를 결정하는 것을 의미합니다.
5. 위험성 감소 대책: 위험성 감소 대책은 발생한 위험성 수준을 고려하여 위험성 감소 대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


체크리스트법의 단계별 세부 추진 절차

체크리스트법은 다음과 같은 절차로 구성됩니다:

1. 유해·위험 요인 파악: 우리 사업장의 공정, 작업, 장소, 기계·기구, 물질, 부품, 작업 행동, 가스, 분진 등을 꼼꼼히 살펴보고, 그간 있었던 산업재해나 아차 사고 등을 고려하여 위험성 평가의 대상을 선정합니다.
2-1. 위험성의 결정: 작성된 평가 항목에 따라, 기계에 적절한 방호 장치가 설치되었는지, 작업 절차 준수를 근로자에게 당부하였는지, 기타 필요한 조치 등 안전·보건 조치가 이루어졌는진 현장을 둘러보며 위험성을 확인합니다.
2-2. 허용할 수 있는 위험 여부의 결정: 사전에 정해 놓은 방법에 따라 유해·위험 요인이 우리 사업장에서 "허용할 수 있는 수준의 위험인지"를 결정합니다.
3. 위험성 감소 대책 수립·실행: 발생한 위험성 수준을 고려하여 위험성 감소 대책을 수립하고 실행해야 합니다.

 

체크리스트법의 적용 방법

체크리스트법을 적용하는 방법은 다음과 같습니다:

체크리스트 작성: 체크리스트법에서 가장 중요한 것은 정확한 체크리스트를 작성하는 것입니다. 체크리스트가 지나치게 단순하게 작성되었거나, 너무 주관적이라면 오히려 위험성 평가로 인해 작업자를 위험에 빠뜨릴 수 있습니다.
체크리스트 평가 예시: 체크리스트 위험성 평가 기법은 보기와 다르게 업무 경험과 안전보건에 관한 지식이 많지 않으면 작성하기가 쉽지 않습니다. 따라서 위험성 평가 지원 시스템 (최근 안전 꼼꼼 e KRAS로 이름 변경) 등을 적극 활용하실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.

 

체크리스트법의 장단점

체크리스트법은 다음과 같은 장단점이 있습니다:

장점: 체크리스트법은 간단하고 직관적이며, 사업장의 실제 상황을 잘 반영할 수 있습니다. 또한, 이 방법은 사업장의 안전·보건 조치의 현황을 쉽게 파악할 수 있습니다.
단점: 체크리스트법은 주관적인 판단이 개입될 수 있으며, 체크리스트 작성에 필요한 경험과 지식이 부족할 경우 정확한 평가가 어려울 수 있습니다.

 

체크리스트법 예시

위험성평가
출처: KRAS 평가방법 안내